본문 바로가기
마케팅 트렌드

SNS(Social Networking Service)란?

by coolmelon 2008. 10. 7.
1. SNS의 정의
2. SNS의 주요 기능
3. SNS의 주요 히스토리
4. 소셜 네트워크의 성장
5. 다양한 모습으로 선보이는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들

1. SNS의 정의


○ 소셜 네트워킹 웹사이트란 온라인상에서 공통의 관심사를 가진 사용자 간의 관계맺기를 지원하고,

축적된 지인 관계를 통해 인맥 관리, 정보 공유 등 다양한 커뮤니티 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를 말함


- 온라인 커뮤니티와 혼용되어 사용되기도 하나, 커뮤니티가 주로 비슷한 관심사의 사람들이

한 장소에 모여 활동하는 그룹 중심의 커뮤니티 서비스를 지칭한다면,


- 소셜 네트워킹 웹사이트에는 개인이 중심이 되어 다른 개인과 관계를 맺고,

이러한 개개인의 관계가 모여 축적됨으로서 더 큰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구조를 띔

2. SNS의 주요 기능


○ SNS는 기본적으로 관계 맺기 및 프로필 제공 기능을 중심으로 다음과 같은 기능들을 제공하고 있음.


① 관계 맺기
친구/지인 맺기, 팬 되기 등 개인들이 관계를 맺고 시스템에 축적할 수 있는 기능


② 프로필
사진과 신상정보, 취미, 관심사 등 개인 자신의 아이덴티티를 밝힐 수 있는 기능


③ 커뮤니케이션
이메일, 쪽지, 채팅, 메신저 등 사용자 간의 커뮤니케이션을 지원하는 기능


④ 콘텐츠 생산
프로필 이외에 블로그, 포토, 동영상 등 사용자가 시스템 안에서 콘텐츠를 생산할 수 있는 기능


⑤ 네트워크의 활용
사용자 생산 콘텐츠나 외부 콘텐츠를 공유하거나 추천, 배포하고 함께 협업 등 축적된 관계 네트워크를 활용하는 기능

3. SNS의 주요 히스토리


○ 학교별 웹페이지에서 동창들이 함께 활동하는 집단 커뮤니티의 성격을 띄었지만, 개인의 친구 목록을 보여주는 기능을

제공하면서 개인과 개인 간의 ‘관계’라는 개념을 처음으로 도입하여 이를 축적할 수 있도록 한 동창 커뮤니티인

클래스메이트닷컴(Classmate.com)을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원조라 할 수 있음.

이후 본격적인 소셜 네트워킹 웹사이트들아 서비스를 시작하며 붐을 이루게 됨


○ 1세대 소셜 네트워킹 웹사이트


- 프렌드스터, 오르쿠트 등으로 대표됨


- 주로 개인의 신상정보, 관심사, 소개 정보가 담긴 프로필을 만들고 이를 통해 다른 사용자와 관계를 맺는

'지인 관계의 축적'에 집중하였으며, 초대에 의한 폐쇄적인 방식으로 접근이 가능했음


- 오프라인의 인맥 관계를 웹으로 구축하고 확장할 수 있게 한 1세대 소셜 네트워크는 큰 인기를 끌었으나,

곧 새로운 성장동력을 찾지 못해 한동안 정체기를 맞게 되었음

○ 2세대 소셜 네트워킹 웹사이트


- 마이스페이스로 대표됨


- 콘텐츠와 결합하여 축적된 관계의 ‘활용’에 집중하는 특성을 보임.


- 폐쇄된 지인 간의 관계맺기를 넘어서 축적된 관계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콘텐츠를 생산/공유/배포함.

이러한 신뢰 네트워크에 기반한 새로운 콘텐츠 유통 시스템으로써, 가입절차가 까다롭지 않고

콘텐츠 공유가 용이하여 사용자의 지지를 얻고 있음


○ 지난 1년 간의 주요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의 방문자수 추이를 살펴보면

마이스페이스가독보적인 1위를 지키고 있는 가운데, 페이스북과 베보의 성장이 두드러짐

4. 소셜 네트워크의 성장


○ 이후 소셜 네트워킹 웹사이트는 다양한 형태의 콘텐츠와 결합되어

웹 2.0 서비스들의 폭발적인 성장의 한 축을 담당하게 됨


- 특히, 사용자 생산 콘텐츠(UCC)와 결합하여, 지인 관계를 중심으로 사용자들이 UCC를 생산하고 배포하는

주요 플랫폼으로 활용되고 있음.


○ 대형 포털에서도 이런 흐름에 동참해 2004년에는 개인 미디어인 블로그와 결합된 형태인

야후의 야후360서비스(360.yahoo.com)가, 2005년에는 MS의 라이브 스페이스(spaces.live.com) 등이 오픈됨.


○ 또한, 사진 공유를 기반으로 한 플리커(flickr.com)나 동영상 기반의 유튜브(youtube.com), 북마크 공유 서비스인

딜리셔스(del.icio.us)등 버티컬 UCC와 소셜 네트워킹이 결합한 형태의 서비스도 다양하게 선보이며 큰 성공을 거둠.


○ 서비스 특징에 따른 주요 소셜 네트워킹 웹사이트의 분류


① 소셜 네트워킹 일반


- 특정 사용자나 분야의 제한 없이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일반적인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 마이스페이스(myspace.com), 페이스북(facebook.com), 오르쿠트 (orkut.com), 베보(bebo.com), hi5(hi5.com)


② 비즈니스 소셜 네트워킹


- 업무나 사업 관계를 목적으로 한 전문적인 비즈니스 중심의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 링크드인(linkedin.com), 씽(XING.com), 스포크(spoke.com), 라이즈(ryze.com)


③ 블로그 결합 모델


- 개인 미디어인 블로그를 중심으로 소셜 네트워킹 기능이 결합된 서비스


- 야후!360(360.yahoo.com), 윈도우 라이브스페이스(spaces.live.com), 장가(Xanga.com)


④ 버티컬 소셜 네트워킹


- 포토, 동영상, 리뷰 등 특정 분야의 버티컬 UCC 중심의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 유튜브(youtube.com):동영상, 플리커(flickr.com):사진, 딜리셔스(del.icio.us):북마크


⑤ 협업 기반 소셜 네트워킹


- 공동 창작, 협업 기반의 소셜 네트워킹


- 위키피디아(wikipedia.org): 공동 창작, 구글 캘린더(calendar.google.com): 공동 스케줄 관리


⑥ 커뮤니케이션 중심 소셜 네트워킹


- 채팅, 메일, 비디오 컨퍼런싱 등 사용자 간 커뮤니케이션 중심의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 미보(meebo.com):웹기반 메신저, 이버디(eBuddy.com):웹/모바일 기반 메신저


5. 다양한 모습으로 선보이는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들


○ 대형 소셜 네트워킹 웹사이트 뿐만 아니라 버티컬 UCC가 결합된 소셜 네트워킹 웹사이트 역시

기존의 버티컬 UCC 분야에서 높은 트래픽을 기록하며, 인터넷 탑 사이트로 부상함


○ 또한, 링크드인(LinkedIn.com)과 같은 전문 비즈니스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나 틈새 영역을 겨냥한

다양한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들이 계속해서 선보이고 있으며,

기존의 올드 미디어나 일반 콘텐츠 서비스도 점차 소셜화 되어 가는 경향을 띄고 있음


○ 이처럼, 소셜 네트워킹 웹사이트는 단순히 친구들 간의 관계 맺기를 넘어서 전문 분야의 비즈니스 인맥 관리와

사용자의 참여를 기반으로 한 전문 분야별 정보 생산, 탐색 및 필터링의 기제로 영향력을 넓혀가며,

차세대 인터넷 서비스의 성장 동력으로 떠오르고 있음


<출처> KISTI, 소셜네트워킹서비스(SNS)의 동향과 전망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