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달앱들의 배달 수수료 2~3000천원이 일반화 되어있는 현시점에서
실제 배달 수수료의 부담은 고객만 지고 있고
업주는 배달앱의 주문 수수료를 부담한다는 명목으로 배달수수료에 대한 부담은 전무하다
이에 서울시가 수수료제로 배달앱 띵동을 출시하기도 ....
근데 뭐 이미 시장에 안착한 기존 배달앱을 넘어서기는 무리수일듯도...
얼마전 코로나19로 배달건수들이 증가됨에 따라
배달플랫폼 '생각대로'에서는 배달수수료를 500원 인상하겠다는 이야기까지 나왔다
그 수수료는 고스란히 음식을 주문하는 고객이 지게 된다는 이야기이다
이렇게 수수료에 대한 이슈들이 생겨나면서 띵동이라는 배달앱을 만들어
수수료를 제로로 만들겠다는 나름 거창한 계획을 내기도 했지만.. 현실은 좀 어렵지 않을까 싶다...
'모바일 마케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타트업 2022년 연말결산 - 핀다 finda (0) | 2022.12.29 |
---|---|
틱톡 결국 오라클 품으로 가는건가~!? (0) | 2020.09.15 |
지난주 사용자 증가 앱 리스트_6월2주차_오디오클립 주간 31만 증가 (0) | 2020.06.17 |
[신성장 헬스케어] 원격진료 시동 건 삼성…핵심은 웨어러블 (0) | 2020.05.28 |
대세는 SNS형 숏폼 플랫폼! , TikTok 틱톡 SWOT 분석 (0) | 2020.04.28 |
댓글